
좀 뚱뚱하기는 하지만 복스럽게 잘먹는다고 하던데,,, 할머니도 늘 보기 좋다고 하시고....
비만이 질병인가요?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은 만성적이고 진행하며 재발하는 질병으로 정의하고 있어요. 비만이 질병이라는데 동의하지 못하는 분들도 많을 거에요.
사실, 과거에는 고혈압도 질병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지만,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혈압이 높으면 고혈압 환자라는 것에 동의하죠. 비만도 마찬가지에요. 과거에는 살찐 사람들에게 풍채가 좋다고 했지만, 이제는 비만 환자라고 해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비만이 질병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게 될거에요.
비만 환자가 얼마나 많아요?
국내 비만 환자는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어요. 2021년 국내 비만 환자는 전체 인구의 38.4%로 3명중 1명은 비만이었어요. 특히, 비만 환자들 중 남성은 49.2%로 거의 2명중 1명이 비만이며, 여성은 27.8%로 4명중 1명이 비만이에요. 우리나라 여성들은 특히 체중이나 체형에 더 예민하기 때문에 비만 인구가 적은 편이에요.

비만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비만은 체질량지수로 진단하고 있어요. 체질량지수는 kg/m2으로 계산하는데, 체중(kg)을 키(미터)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에요. 아래 표를 보면, 체질량 지수가 18.5-22.9면 정상이고, 23-24.9이면 비만 전 단계이며, 25이상이면 비만이에요.

그런데, 체질량지수는 직접 지방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몸의 체지방의 분포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지방이 많은 것이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하는지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요. 또, 운동선수처럼 키에 비해 근육량이 많아서 체중이 많이 나가도 비만으로 잘못 분류되는 문제가 있어요.
따라서, 체질량지수 외에 실제로 몸에 지방이 많은지를 같이 확인해야 정확하기 때문에, 허리둘레를 같이 측정해야 더 정확하게 비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허리둘레가 남자는 90cm (35인치), 여자는 85cm (33인치)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어요. 체질량지수와 복부둘레의 조합으로 건강 위험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요 (위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소화기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액 주사의 비밀! (1) | 2025.03.31 |
---|---|
살빼는 약, 알아볼까요? (2) | 2025.03.28 |
대장내시경으로 대장암 예방할 수 있나요? (3) | 2025.03.19 |
대장암의 원인, 증상부터 예방까지 (0) | 2025.03.18 |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소화제 탑3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