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8

위염 치료, 전문가 따라잡기! 표준 진료를 시행하기 위하여 의사들은 진료지침을 참고하는데요, 위염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을 바탕으로 위염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J Korean Med Sci. 2023 Apr 3;38:e115) 위염이 얼마나 많아요? 위내시경을 하면서 위염은 워낙 흔히 진단하고 특히 나이가 많은 환자일수록 빈도가 더 높기 때문에 의사들은 정작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아요. 실제로 국내에서 시행한 대규모 연구에서 위내시경 검사 후 정상 판정을 받은 사람은 14.1%에 불과하였고, 86%의 환자들은 모두 위염이 있었어요.  위는 항상 위산, 음식물, 헬리코박터균에 의해 자극을 받고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정상으로 보여도 막상 조직검사를 해보면 위염이 있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위염은 어떤게 있어요?  대표적인 만성 위염은.. 2025. 4. 11.
술 마시면 살이 찌나요? 술의 주성분은 물과 알코올인데, 알코올은 1g당 7kcal 를 제공해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이 4kcal/g을 제공하고, 지방이 9kcal/g을 제공하는 것을 감안하면, 알코올 자체의 칼로리는 거의 삼겹살에 가까운 편이에요. 보통 소주 1병의 칼로리는 약 340kcal 정도 되고, 맥주 500cc 한잔은 약 200kcal 정도에요.  그런데, 알코올의 칼로리는 빈 칼로리라고 해요. 열량은 가지고 있지만 몸에서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하나도 없기 때문이에요. 또, 알코올의 칼로리는 휘발성 칼로리라고 하는데, 알코올을 먹게 되면 소화과정이 필요없고, 바로 흡수되어 저장하지 않고 에너지로 바로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알코올은 체내에서 알코올 --> 아세트알데하이드 --> 아세테이트로 분해되는데, 아세테이트는 에.. 2025. 4. 10.
당뇨가 있지만 과일을 먹고 싶어요 과일 엄청 좋아하는데, 당뇨가 있어요. 과일 먹고 싶어요.. T.T. 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음식을 먹은 후 혈당이 얼마나 빠르고 높게 상승하는지를 측정한 값인데, 포도당의 당지수를 100으로 기준 삼아 다른 음식들의 당지수를 상대적으로 평가해요.  당지수 70이상이면 고당지수, 당지수가 56-59면 중간당지수, 당지수가 55이하이면 저당지수로 분류해요. 당뇨병 환자라면 저당지수 과일을 먹으면 좋을 것 같아요. 대개 과일에 식이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혈당을 천천히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과일들이 저당지수 과일이에요.  저당지수 과일로는 섬유질이 많은 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블랙베리와 같은 베리 (당지수 25-40), 사과(특히, 껍질째 먹을 때) (당지수 36-40),.. 2025. 4. 9.
전문병원이 뭔가요? 병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 등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이 전문병원이에요. 매년 심사평가원에서 지정기준 충족여부 확인(절대평가) 및 상대평가에 해당하는 지정·평가를 수행하고, 지역별·분야별 균형을 고려하여 지정하고 있어요. 전문병원은 전문병원 마크를 게시하고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아래 사진).  전문병원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① 특정 질환별, 진료과목별 환자의 구성비율이 기준 이상이어야 하고, ② 진료량이 연환자의 상위 30% 이상이어야 하며, ③ 각 질환별 또는 진료과목별로 필수 진료과목과 전속 전문의를 두어야 하고, ④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증받아야 하는 등 까다로운 기준을 만족해야 해요.  현재 전문병원으로 지정가능한 질환은 관절, 뇌혈관, 대장항문, 수지.. 2025. 4. 8.
꿈의 진단기술, 액체생검 피검사로 암을 진단하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지만, 현재 기술로는 쉽지 않아요. 암표지자는 암세포에서 만들어내는 단백질인데, 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암표지자 단백질들이 만들어지거나 1가지 암이 아니라 여러 가지 암에서 상승할 수 있고, 심지어는 암이 없는 사람도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암표지자로 특정 암을 진단하기는 어려워요. 암세포의 DNA가 혈액 속에 미량 존재하게 되는데, 이 암세포의 DNA를 직접 검출하여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킨 방법이 액체 생검이에요. 마치 조직 검사하듯이 정확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고 해서 생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요. 암세포의 DNA 조각을 찾아내거나 DNA 돌연변이를 찾아내거나 혹은 유전자 메틸레이션(methylation)을 찾아내는 기술이죠. 보통 1기 암에는 0... 2025. 4. 7.
침묵의 살인자 폐암, 조기발견이 최선! 국내에서 폐암의 발생 빈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다른 암에 비해 성별 상관없이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어요. 폐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때가 많아서 진단이 쉽지 않고, 호흡곤란이나, 기침, 피섞인 가래가 나오면 이미 진행이 많이 된 상태인 경우가 많아요.  폐암 4기에 진단되는 환자들이 40% 정도로 많은 편인데, 4기에 진단되면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해요. 하지만, 폐암 1기에 조기 발견을 하게 되면 5년 생존율이 82%까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죠.  폐암하면 담배가 원인이죠. 그런데, 최근 비흡연 여성에서도 폐암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여성 폐암 환자의 약 90%는 비흡연자에요. 폐암의 원인은 담배 외에 미세먼지, 석면이나 조리흄과 같은 환경요인과 가족력과 같은 .. 2025. 4. 4.
황사와 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황사와 미세먼지는 모두 공중에 떠다니는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작은 먼지인데,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각막염, 각종 호흡기 질환, 폐렴, 천식, 우울증,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황사는 주로 중국이나 몽골에서 발생한 흙먼지로 토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8μm 정도 크기의 작은 흙먼지에요. 바람을 타고 주로 봄철(특히 3-5월)에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자연현상이에요.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기가스나 공장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 물질로,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과 같은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과 같은 유해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요(중금속 먼지에요). 미세먼지의 크기는 10μm 보다 작은 먼지이고, 훨씬 작은 2.5μm보다 작은 먼지는 초.. 2025. 4. 3.
폐렴 백신, 13, 15, 23 폐렴 백신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에서 한번 다룬 적이 있지만, 또 질문하셔서 한번더 알려드려요. 헛갈리니까요..ㅋㅋ.  폐렴 백신은 13가 백신, 15가 백신, 23가 백신이 있어요.  프로디악스, 23가 백신(PPV23, 다당질 백신): 폐렴구균 23종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지만, 면역기억 반응을 유도하지 않아 항체를 만들지 못해서 예방 효과가 더 낮아요. 그래서, 비용도 더 싸요.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로 국가에서 1회 접종해 주고 있어요. 오지랖만 넓은 셈이고 싼게 비지떡이죠.  프리베나13, 13가 백신(PCV13, 단백접합 백신): 폐렴구균 13종(psv-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고 비용도 15만원 전후로 더..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