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폐렴 백신, 13, 15, 23

by 차교수의 진료실 2025. 4. 2.

 

 

폐렴 백신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에서 한번 다룬 적이 있지만, 또 질문하셔서 한번더 알려드려요. 헛갈리니까요..ㅋㅋ.

 

폐렴 백신은 13가 백신, 15가 백신, 23가 백신이 있어요.

 

프로디악스, 23가 백신(PPV23, 다당질 백신): 폐렴구균 23종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지만, 면역기억 반응을 유도하지 않아 항체를 만들지 못해서 예방 효과가 더 낮아요. 그래서, 비용도 더 싸요.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로 국가에서 1회 접종해 주고 있어요. 오지랖만 넓은 셈이고 싼게 비지떡이죠.

 

프리베나13, 13가 백신(PCV13, 단백접합 백신): 폐렴구균 13종(psv-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고 비용도 15만원 전후로 더 비싸요. 하지만, 면역기억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폐렴균이 다시 체내로 침투하면 이에 대항하여 항체를 만들 수 있어서 면역효과(즉 예방효과)가 더 커요.

박스뉴반스 vs 프리베나13

박스뉴반스, 15가 백신(PCV15, 단백접합 백신): 기존 13가 백신의 폐렴구균 13종에 대한 예방효과에 추가하여 2가지 종(22F, 33F)에 대한 예방 효과가 추가되었어요. 13가 백신과 비교하여 13가지 공통 혈청형에 대한 비열등한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혈청형 3, 22F, 33F에 더 강력한 면역원성을 보였기 때문에, 13가 백신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하지만 폐렴 혈청형 22F, 33F는 주로 미국에서 유행하지 국내 유행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에 13가 백신과 실제로는 비슷하다는 견해도 있어요.

 

여전히 헛갈려요, 골라주세요!

 

65세 이상이세요?

건강한 65세 이상이라면, 13가(또는 15가) 백신이나 23가 백신 둘 중 하나를 맞으면 됩니다.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23가 백신을 1회 무료로 맞을 수 있어요.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이라면, 13가(또는 15가) 백신을 맞으시고, 6-12개월 후에 23가 백신을 맞으세요. 만약, 23가 백신을 먼저 맞으셨으면 1년 후에 13가(또는 15가) 백신을 맞으시면 됩니다.

 

65세 미만이지만 고위험군이세요?

13가(또는 15가) 백신을 맞으시고, 1년 후에 23가 백신을 맞으세요. 23가 백신 투여는 1회 또는 2회 투여를 권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1년 후에 23가 백신을 한번 더 맞을 수도 있어요.

 

독감 백신과 같이 맞아도 되나요?

 

폐렴백신과 독감백신을 같이 맞아도 예방 효과는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