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8

조용한 위협, C형 간염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C형 간염이 발생할 수 있어요.  C형 간염은 어떻게 걸리나요?성행위, 수혈, 혈액 제재, 오염된 주사기, 소독되지 않은 침, 면도기, 손톱깍기, 칫솔, 문신, 피어싱을 통해 전염될 수 있어요. 전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지만,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아요. 과거에는 수혈 때문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05년 이후에는 수혈로 인한 감염은 보고되지 않고 있어요.  C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이 없어서 예방할 수는 없어요.  C형 간염 증상은요?C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어도 처음 6-10주 잠복기에는 대부분(70-80%) 증상이 없어요. 잠복기 후에 급성 C형 간염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증상이 심하지 않아 대부분 간염인지 몰라요. 만성 피로, 미.. 2024. 12. 30.
열과 해열제 총정리 해열제 언제 먹어요?체온은 잴 때마다 조금씩 다르고, 일반적으로 신체활동을 하면 약간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침 체온은 낮고, 저녁 체온은 높은 편이에요. 정상 체온은 보통 36.5-37.5도로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내과학 교과서에 따르면 정상체온의 범위는 구강체온 기준으로 36.8±0.4도이며, 아침 37.2도 이상, 저녁 37.7도 이상을 열로 정의하고 있어요.  영유아기에는 체온을 잴 때 직장 체온계로 재기도 하는데 직장 체온, 고막 체온은 구강 체온보다 0.4도가 더 높게 나와요. 반면 피부 체온(이마 체온)은 구강 체온보다 0.4도가 더 낮게 나와요. 만약, 흔히 사용하는 이마 체온계로 쟀다고 가정하면 아침 37.6도 이상, 저녁 38.1도 이상이면 열로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보통.. 2024. 12. 29.
혈압과 혈압약 총정리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있는데, 수축기 혈압 120mmHg, 이완기 혈압 80mmHg이 정상이에요.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완기 혈압 90mmHg이상으로 정의해요. 수축기 혈압 130-139mmHg, 이완기 혈압 80-89mmHg는 고혈압 전단계로 분류해요. 우리나라 인구의 3명중 1명이 고혈압 환자일 정도로 많아요.  평소에는 혈압이 정상인데 병원에만 오면 혈압이 올라가는 사람들이 있어요. 반대로, 평소에는 혈압이 높은데 병원에만 오면 혈압이 정상이 되는 사람들도 있어요. 신기하죠~~. 이런 사람들은 병원에서만 혈압을 재면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집에서 측정하는 혈압이나 24시간 측정한 혈압이 중요해요.  즉, 병원에서 측정한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일 경우 집에.. 2024. 12. 28.
열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열은 해롭기 때문에 열을 내려야 한다: 거짓 열이 나쁜 경우도 있지만,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따라서, 아직까지 발열이 이로운지 해로운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요. 해열제를 사용하면 컨디션이 더 나아지는 것은 열이 내려서 일수도 있지만, 해열제의 진통 효과 때문일 수도 있어요.  보통 열이 나더라도 체온이 계속해서 상승하지는 않고, 42도를 넘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일사병처럼 열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는 42도를 넘어가고 뇌 손상도 유발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감염에 의한 발열은 42도를 넘는 경우는 드물어요.  열이 나면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 거짓 열이 나는 흔한 원인은 감염이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바이러스 감염, 종양(암), 류마티스 질환에서도 .. 2024. 12. 27.
해열제, 언제 먹어요? 체온이 몇도 이상이면 열이에요?  체온은 잴 때마다 조금씩 다르고, 일반적으로 신체활동을 하면 약간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침 체온은 낮고, 저녁 체온은 높은 편이에요. 정상 체온은 보통 36.5-37.5도로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내과학 교과서에 따르면 정상체온의 범위는 구강체온 기준으로 36.8±0.4도이며, 아침 37.2도 이상, 저녁 37.7도 이상을 열로 정의하고 있어요.  영유아기에는 체온을 잴 때 직장 체온계로 재기도 하는데 직장 체온, 고막 체온은 구강 체온보다 0.4도가 더 높게 나와요. 반면 피부 체온(이마 체온)은 구강 체온보다 0.4도가 더 낮게 나와요. 만약, 흔히 사용하는 이마 체온계로 쟀다고 가정하면 아침 37.6도 이상, 저녁 38.1도 이상이면 열로 정의할 수 있을 것.. 2024. 12. 26.
부루펜이 좋아요? 타이레놀이 좋아요? 진통소염제(NSAID)는 어떤 약이에요? 진통소염제라고 하면 보통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를 의미해요. 대표적인 약으로 부루펜(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피록시캄, 인도메타신과 같은 약들이 있고, 아스피린도 같은 기전의 약물이에요. 수백가지가 넘을 정도로 무척 다양하고, 같은 이부프로펜도 회사에 따라 부르펜, 이지엔6애니, 애드빌, 캐롤에프, 탁센400이부프로펜 등 매우 매우 다양해요. 가정마다 하나씩 비치하고 있을 정도의 상비약이에요! 진통소염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이해하려면 아래 그림을 이해해야 해요.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면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COX) 효소를 차단하여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해요. COX 효소가 2개가 있는.. 2024. 12. 25.
모든 부정맥은 위험한가요? 심장의 특정 부위에서 전기 신호를 만들어 심장 근육으로 보내면 전기 신호에 맞추어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고 있어요. 사람의 심장은 1분당 60-100회 사이에서 박동하는데, 이보다 빠르거나 느리거나 혹은 불규칙적으로 뛰는 것을 모두 부정맥이라고 해요. 모든 부정맥이 위험한가요?  모든 부정맥이 위험하지는 않아요. 긴장하거나 흥분하면 맥박이 100회 이상으로 빨리 뛸 수도 있고, 운동 선수들은 맥박이 60회 미만으로 서서히 뛰어 효율적으로 일할 수도 있어요. 또, 정상 리름으로 박동하다가 어쩌다가 한번씩 비정상 리듬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문제가 없어요.  부정맥이 있으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심장은 365일, 24시간 뛰고 있지만 평소에는 잘 느끼지 못하죠. 하지만, 부정맥이 발생하면 가슴이 두근거.. 2024. 12. 24.
평생 먹는 혈압약, 부작용은 없을까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혈약의 종류에 따라 부작용도 설명드릴게요. 혈압약은 약 마다 작용 기전이 다르고 다양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어요. 다행히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는 많지 않고 용량을 줄이거나 다른 약으로 변경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부작용은 환자에 따라 개인차가 크고, 같은 약도 특정 환자에게만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요.  1. 안지오텐신 차단제 안지오텐신 차단제를 복용하면, 소화불량, 설사, 복통, 두통,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어요. 또, 신장에 작용하여 칼륨 배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고칼륨혈증이 생길 수 있어요. 칼륨이 풍부한 과일(오렌지, 포도), 채소, 잡곡류를 좋아하시면 의사와 상의하세요.  2. 칼슘통로차단제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기전 때문에 안면홍조, 두통, 심장 .. 2024. 12. 23.